전신마취 후유증, 빨리 회복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들

 

전신마취는 여러 약물을 사용하여 환자의 감각과 운동 기능, 반사작용을 차단하고 의식을 소실하게 하는 의도적인 행위를 의미합니다. 보통은 큰 수술을 위해서 마취효과를 가진 약물을 정맥 주사로 투여하거나 기체를 들이마시게하여 전신마취 상태에 이르게 합니다. 전신마취 상태에 이르면 의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아무런 감각도 느낄 수 없고, 신체를 움직일 수 없답니다.

 

 

전신마취는 의식과 운동기능이 모두 정지되는 만큼 환자의 컨디션이 좋아야하고 사전 준비도 철저해야 합니다. 소변이나 간기능, 전해질, 혈액, 흉부 방사선, 심전도 검사 등을 통해 전신 마취와 수술이 가능한 컨디션인지를 확인합니다. 또 전신 마취 수술 이전에 최소 8시간 이상의 금식을 통해 추가적인 합병증을 방지하지요.

 

 

 

 

또한, 전신마취 상태에 놓인 환자는 의식을 소실한 만큼 수술 중의 환자의 컨디션을 체크하기 위해 여러 장비를 환자의 몸에 부착합니다. 이를 통해 전신마취 전과 수술 중의 활력 징후들을 꼼꼼하게 체크하게 되는데요, 환자가 산소마스크에 얼굴을 대고 호흡을 유지하면서 수면제를 투여하면 환자는 수초 이내로 의식을 소실하게 된답니다.

 

 

수술이 끝나면 마취제 투여가 중단되고 체내의 마취제가 서서히 몸 밖으로 배출되며 환자의 신체 기능과 의식이 돌아옵니다. 환자가 의식을 되찾았다고 해서 신체 상태가 완벽히 제 기능을 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여러 활력징후들이 정상 범위에 들어오게 되었을 때 회복실을 벗어날 수 있게 됩니다.

 

 

 


 

전신마취 후유증은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비교적 심각한 결과를 낳기도 합니다. 전신마취 후유증이나 부작용은 환자의 기존의 신체 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저산소혈증, 저혈압/고혈압, 폐렴, 무기폐, 허혈성 심장질환, 기도폐쇄, 각성지연 부터 시작해서 메스꺼움, 구토, 저체온, 혈뇨, 배뇨 곤란 등에 이르기까지 전신마취 후유증은 여러 양상으로 나타나지요.

 

 

전신마취 후유증 중에서도 무기폐나 폐렴 등의 호흡기 후유증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편인데요, 충분히 심호흡을 하고 기침을 해서 기관지의 분비물을 원활하게 배출시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회복하는 환경이 건조하지 않도록 습도를 조절해주고 수술 부위에 통증이 있다고 해서 과도하게 기침을 참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