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를 토해요: 피토하는이유


피를 토해요: 피토하는이유

토혈이랑 위장관 내에서의 출혈이 발생하여 입으로 피를 토하는 것으로, 폐, 기관지의 출혈에 의해 발생하는 객혈과는 구분지어 생각합니다.
토혈은 십이지장 상부의 위장관 출혈을 암시하는 증상으로, 출혈량이 많을 경우 종종 흑색변과 동반되어 나타납니다.

토혈이 발생한 경우 비위관을 삽입하여 위의 내용물을 씻어내고 출혈의 정도를 파악하며,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식도, 위, 십이지장 등을 관찰하여 출혈부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토혈을 하는 환자에게는 검사 전 산소 공급 및 수액 공급을 통해 혈역학적 안정 상태에 오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수혈이 필요할 수 도 있습니다.

1.소화성 궤양

토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소화성 궤양으로, 많게는 50% 정도를 차지합니다.
궤양으로 인한 출혈 발생 시, 내시경적 치료 후 양성자펌프억제제(PPI)를 투여합니다.



출혈성 궤양 환자에서 예방적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 약 1/3에서 1-2년 이내에 재출혈이 발생합니다.
소화성 궤양의 주요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균, 그리고 NSAID(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진통소염제로 많이 사용)가 있는데요,
위의 요인이 출혈성 궤양의 재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처치의 핵심입니다.

헬리코박터균에 의한 출혈성 궤양의 경우,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를 합니다.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 시 재출혈의 빈도가 5% 미만으로 낮아지게 됩니다.
NSAID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출혈성 궤양이 발생할 경우 가능하면 약제를 중단해야 하며, 계속 복용해야 하는 경우 양성자펌프억제제와 함께 복용합니다.


2.식도 정맥류 출혈

식도 정맥류문맥압의 증가에 의해 식도 정맥이 부풀어 올라 확장되는 질환입니다.
보통 간경변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간경변에 의해 문맥압이 높아짐에 따라 식도 정맥으로 흐르는 혈류가 많아져 식도 정맥이 확장되기 때문입니다.


확장되어 부풀어오른 정맥을 정맥류라고 하는데, 이 정맥류가 터져 토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식도 정맥류 출혈 발생 시 내시경적 결찰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베타차단제를 복용하여 출혈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위식도경계부 점막열상(Mallory-Weiss)

술을 많이 마신 사람에게서 구토나 구역질, 또는 심한 기침 후 피를 토하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말로리바이스증후군이라고도 하지요.
대부분 위식도 경계부의 위장 쪽 점막이 찢어져 출혈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한자들의 8-90%에서는 저절로 지혈되며, 재발하는 확률은 0-7%로 작습니다.
활동성 출혈 환자에서는 내시경적 지혈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4.기타
그 외 상부 위장관 출혈의 덜 흔한 원인으로는 출혈성 및 미란성 위염, 십이지장염, 종양 등이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