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4. 6. 21:43
BUN 정상수치 / 크레아티닌 정상수치 BUN과 크레아티닌은 대표적인 신장 수치에요. 신기능을 평가하는 혈액검사 항목이지요. BUN(혈액 요소질소)이란 혈액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요소는 섭취한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생성되고 신장을 통해 최종적으로 소변으로 배설되요. 배출되어야 할 요소가 배설되지 못하면 BUN 수치가 올라가게 되고 이 말은 콩팥기능이 떨어진다는 뜻입니다. 크레아티닌(Creatinine)은 근육에서 생성되고 신장으로 배출되는 물질이에요. 신장에서 거의 재흡수가 되지 않고 배출됩니다. BUN과 마찬가지로 신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에요. BUN 정상수치는 7~20mg/dL 크레아티닌 정상수치는 0.7~1.2mg/dL 정상수치는 실험실이나 병원마다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4. 5. 21:49
BPPV 원인 및 증상, 치료법 (양성 돌발성 체위성 현훈) BPPV, Benign Paroxismal Postural Vertigo (양성 돌발성 체위성 현훈) 누운 자세에서 일어났을 때 갑자기 어지러움증이 발생하며 균형을 잡기 어려웠던 적 있으신가요? 체위가 바뀌면허 어지러움증이 갑자기 생기는 경우 흔한 원인으로 BPPV (양성 돌발성 체위성 현훈)을 의심해 볼 수 있어요. 현훈이란 어지러움을 뜻하지요. 이석기관은 우리 몸의 평형을 담당합니다. 수만개의 이석이 들어 있어 중력을 느끼고 우리가 균형을 잡도록 돕지요. 그런데 여기서 떨어져 나간 돌들이 반고리관으로 넘어가서 머리를 움직일 때마다 평형감각 세포들을 자극해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것이지요.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지러움은 1분 이내의 짧고 격..
피부과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4. 5. 00:09
버찌혈관종 (체리혈관종) 원인 및 치료법 갑자기 피부에 빨간점이 생겼다면? 성인에게 발생하는 빨간 점은 버찌혈관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혹은 체리혈관종이라고도 합니다. 버찌혈관종이란 피부에 갑자기 나타나는 점 모양의 아주 작은 혈관종입니다. 혈관종이기 때문에 붉은 색을 띕니다. 점의 모양이 버찌를 닮았다고 해서 버찌혈관종 혹은 체리혈관종이라고 불리지요. 발생하는 원인은 몸통이나 팔다리, 혹은 얼굴 피부에 있는 모세혈관이 확장하면서 생기게 되며 주로 나이가 들면서 생기게 됩니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0.5mm 정도의 작은 반점이 발생하며 나이가 들수록 서서히 많아지게 되는데 어렸을 때 발생하는 딸기 혈관종과는 달리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신경과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4. 4. 00:30
밀러피셔증후군에 대해서 병명이 다소 생소한 이 질환은 길랑-바레 증후군과 비슷한 기전으로 발생하는 말초신경 질환 중 하나입니다. 물론 길랑-바레 증후군도 드문 질환이지만 밀러 피셔 증후군 또한 상당히 드문 질환이지요. 상기도 바이러스 감염, 즉 감기 증상이 발생하고 난 뒤 며칠 뒤, 근력 약화가 시작됩니다. 이런 면에서 길랑-바레 증후군과 유사한 경과를 밟습니다. 밀러피셔 증후군과 길랑바레 증후군과 차이점은 외안근 마비 증상이 두드러진다는 점이에요. 주된 증상 또한 눈 근육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지요. 외안근 마비로 인해 복시가 발생할 수 있답니다. 또한 운동실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 보행이 불안정해지게 됩니다. 치료는 길랑-바레 증후군과 비슷하답니다. 면역글로불린 주사 및 혈장교환술을 시행하게 되지요...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